요청 메서드[클라이언트단]
말그대로 요청하는 메서드이다.[클라가 서버에게 도장처럼 찍어서 물어보는 용도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클라이언트단(요청 메서드 보냄) -> 서버단(응답 코드 보냄)
으로 요청 메서드를 보내게 되며 이 요청 메서드는 다음 6가지로 분류되곤 한다.
GET
ㄴ 서버에 HTML, 이미지, 기타 각종 데이터를 요청한다.
API 에서도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사용한다.
POST
ㄴ 서버에 새로 저장될 자료를 보냄.
새 게시물 등이 예이다.
PUT
ㄴ 특정데이터 전체를 새로 저장한다. 게시물의 수정을 의미.
PATCH
ㄴ 특정데이터 일부를 수정한다. 게시물의 조회수나 좋아요 수를 올릴 때 등 사용
DELETE
ㄴ 게시물 등 특정데이터를 삭제한다.
OPTIONS
ㄴ 해당 URL이 어떤 메서드를 허용하는지 물어보기 위해 사용한다.
응답코드[서버단]
서버의 응답에는 세 가지 숫자로 응답 코드가 찍힌다.
1XX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음., 서버가 해당 작업을 진행 중.
2XX : 요청을 성공적으로 받음., 반환 요청이 이뤄짐.
ㄴ 200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
ㄴ 204 :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으나 보낼 내용은 없음.
ㄴ 206 : 요청에서 지정한 대로 일부 콘텐츠만 보냄.\
3XX : 요청을 수행하기 위해선 해당 요청을 다른 주소로 보내는 리디렉션(Redirection) 등 추가 조치가 필요함.
ㄴ 자료의 위치가 변경되어 새 URL로 자동 이동 시켜줄 때 사용한다.
4XX : 클라 요청에 문제가 있어 수행할 수 없는 상태.
ㄴ 401 : Unauthorized = 로그인이 필요한 요청이나 로그인 X.
ㄴ 403 : Forbidden = 로그인 되어 있으나 요청을 보낼 권한이 X.
ㄴ 404 : Not found = 요청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없거나 URL이 잘 못 되었을 때.
5XX : 요청은 문제 없음, 서버에 이상으로 응답할 수 없는 경우.
ㄴ 500 : 서버 내부에 오류 발생.
ㄴ 502 : 서버 과부하 혹은 기타 네트워크 문제로 통신 X.
DNS에서 네이버IP 주소를 찾는 과정
IP주소를 요청할 경우 아래의 그림과 같이
DNS 서버의 종류를 계층화 하여 단계적(Step by step)으로 처리한다.
로컬DNS서버란?
ㄴ SKT나 KT 등 기업이 운영하는 서버로 인터넷 사용자가 가장 먼저 접근하는 DNS 서버를 말한다.
ㄴ 지역마다 차단하는 사이트 여부 등이 다르므로 우회하여 다른 지역으로 바꿀 수 있다.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21 [SQL, NoSQL] (0) | 2022.12.30 |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20 [DBMS,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0) | 2022.12.26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8 [HTTP, HTTPS] (0) | 2022.12.22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7 [IP주소, 도메인과 DNS] (0) | 2022.12.19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6 + [AJAX] (0) | 2022.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