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서버는 역할의 개념이다.

 

주는 곳(서버), 받는 곳(클라이언트)이라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도 서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로 외부서 접속할 수 있게끔 온라인 서비스를 할 수 있으나 H/w의 구조적 문제와 S/w의 효율성 문제로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서버는 '컴퓨터에 서버 역할을 하게끔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라고 지칭한다.

Ex> 아파치 http 서버와 같이 "컴퓨터의 특정 폴더" 안의 "HTML 파일"로 웹사이트에 띄울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웹 서버 라고 합니다.(예전 FTP 시스템을 활용한 서버 폴더 안의 HTML 파일을 웹 사이트로 불러오는 방식)

 

일반 PC(물리 PC) -> Apach S/w(웹 서버 프로그램 설치&실행) -> 서버 PC로 활용 가능(물리PC&Sw server) -> 웹 사이트 제공

 

 

 

데이터 센터

서버 역할에 적합한 H/w 구성, 안정적인 네트워크, 해킹으로부터 안전해야 한다.

 

위와 같은 조건을 갖춘 시설은 데이터 센터, 혹은 IDC(Internet Data Center) 라고 한다.

ㄴ 통신설비, 냉각 장치로 이뤄져 있다.

 

2021년 기준 한국에만 150곳 정도가 있다.

 

데이터 센터를 가지지 못한 개인에게 임대해 주는 것을 ★서버 호스팅 이라 한다.

 

서버 호스팅으로 외부 데이터 센터에 두기 민감한 정보는 사내 전산실에 서버를 구축(Ex> Server + Intranet)합니다.

 

회사 자체적으로 서버를 갖추고 운영하는 것을 ★온프레미스(On-premise)라 한다.

※ 보안 이슈 + 회사의 자유도가 필요 => 온프레미스 방식

ㄴ 서버 구축에 굉장한 난이도와 전문성 필요. 

 

※ 외부 호스팅 서버로 대여 받은 서버 => ★호스티드(Hosted server) 서버

서버 호스팅은 원가 절감 측면에선 좋지만 유출되면 안되는 정보를 외부 컴퓨터에 둔다는 리스크도 있다.

 

단순 서버호스팅 관점에서의 장, 단점(물리적 Server -> 통신을 통한 물리적 Server 임대)

장점 단점
자유도가 높다 사용 가능 용량이 한정적
초기 자본에서 원가가 저렴하다 운영체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등 다양한 프로그램 구축해야 한다.

 

 

 

 

AWS(물리적 서버를 클라우드화:가상화 -> 가상화된 파편서버를 임대)

ㄴ 네트워킹 기반으로 가상 컴퓨터와 스토리지, 네트워크 인프라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앞서 단순 서버호스팅의 단점을 모두 상쇄시켜주는 게 AWS이다.

 

필요한만큼 가변적으로 용량을 늘릴 수 있으며 다양한 솔루션을 직접 설치할 필요가 없다.

 

단, 가격이 더 비싸다.

 

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킹, S/w 등 과 같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물리적으로 수 많은 컴퓨터를 ★가상화 기술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형태로 합친 뒤 유저들에게 필요한만큼

 

작은 조각들로 떼어서 임대하는 것이다.

 

 

장점 : ⓐ 사용량을 탄력적으로 조절 가능, ⓑ 서버에 대한 어려운 기술적 요소들 제공 받는다.

 

단점 : ⓐ 온프레미스 대비 제한된 자유도, ⓑ 높은 비용, ⓒ 데이터가 외부에 있다는 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