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앱
그냥 웹 사이트라고 보면 된다.
적응형 혹은 반응형 방식으로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서 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장점 : 앱 마켓의 심사과정이 없고 웹사이트인만큼 비용이 적게 든다.
단점 : 브라우저로 할 수 있는 기능 외, 내부의 파일, 각종 h/w장치는 제어가 불가능에 가깝다.
접근성이 매우 불편하다.(직접 URL치고 들어가야 함.)
하이브리드 앱
웹사이트로 제공하면서 네이티브 앱의 기능까지 제공하는 앱을 하이브리드 앱이라 한다.
원리는 네이티브 혹은 크로스플랫폼 방식으로 앱을 제작 후
화면 요소를 직접 만들지 않고 브라우저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웹 뷰라는 요소를 사용하여
웹 화면에 띄우는 형식이다.
카메라, 푸시알람 같은 기능을 쓸 수 있으면서 웹 브라우저이므로 매우 범용성 있게 쓸 수 있다.
Ex> 다음사이트 앱
앱 기능을 업데이트 할 때를 제외하곤 심사 없이 바로 수정, 사용 가능하다.
(앱 기능 업데이트시엔 마켓에 다시 올려야 하니 이에 따른 마켓의 심사가 필요하다.)
PWA
Progressive Web Apps 이다.
PWA는 기본적으로 앱이 아닌 모바일 웹사이트 이다.
무슨 소리냐면 웹 앱 임에도 불구하고 바탕화면에 아이콘으로 설치가 가능하며,
푸시 알람을 보낼 수 있는 등 이를 사용해 카메라, 블루투스, 진동 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ㄴ 크롬 브라우저의 기능
단점 : 아이폰은 사파리만 PWA가 가능하며, 그 기능도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대세 기술이 되기엔 아직 모자른 감이 있다.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4 [프레임워크, API] (0) | 2022.12.13 |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3 [프론트엔드, 백엔드] (0) | 2022.12.12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1 [네이티브, 크로스플랫폼] (0) | 2022.12.11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10 [토큰, 캐시, CDN] (0) | 2022.12.10 |
개발자들의 용어 정리 9 [쿠키, 세션] (0) | 2022.12.09 |